반응형

회계&세법 73

2025년 종합소득세 : 2024년과 달라진 점부터 신고 시 주의사항 정리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돌아왔습니다.2025년 5월, 우리는 2024년 귀속 소득에 대해 세금을 신고하게 됩니다.그렇다면 이번 연도에는 무엇이 달라졌고, 어떤 점을 꼭 유의해야 할까요?👇 이 글 하나로 2025년 종합소득세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종합소득세 관련 글은 아래도 참고해주세요!2025년 종합소득세 완벽 가이드(신고기간, 신고대상, 체크리스트, 절세 포인트) (tistory.com) 2025년 종합소득세 완벽 가이드(신고기간, 신고대상, 체크리스트, 절세 포인트)2025년 종합소득세 완벽 가이드"세무 스트레스 끝! 종소세 A to Z, 이 글 하나면 충분해요"1️⃣ 종합소득세란?종합소득세는 1년 동안 벌어들인 여러 소득을 종합해서 과세하는 세금이에요.단일 소forfutureme.tist..

회계&세법 2025.05.12

숫자로 읽는 한국기업|배달의민족 ‘음식 배달’에서 ‘광고 제국’으로 완벽 변신한 비결

🍔 한눈에 보는 2024년 재무 요약매출 4조 3,510억 원 (+27.5%)영업이익 6,188억 원 (영업이익률 14.2%)당기순이익 5,013억 원외주용역비 2조 2,370억 원 (+73.4%)이익잉여금 4,540억 원1️⃣ 배달의민족,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초기에는 음식점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개 플랫폼이었던 배달의민족.이제는 광고, 퀵커머스, 구독 모델까지 아우르는 ‘로컬 커머스의 표현자’가 되었습니다.코어 서비스: 음식 배달 중개2024년 기준 가맹 음식점 약 25만 곳, 월간 활성 사용자(MAU) 1,300만 명일평균 주문 건수 약 160만 건, 연간 6억 건 돌파새 수익원 - 광고 플랫폼: ‘배민 사장님광고’전체 매출의 44% 차지(~1.9조 원)상단 노출, 배너형, 프로모션 상품 다양化 →..

숫자로 읽는 한국기업|2024년 에듀테크 반전 드라마 – 클래스101 흑자 전환의 비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취미를 클래스101에서 배울 수 있다.”클래스101은 2018년 설립된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으로,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와 수강생을 연결하는 방식의 크리에이터 중심 교육 플랫폼입니다. 디자인, 드로잉, 요리, 자기계발, 부업 등 다양한 분야의 클래스를 제공하며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한눈에 보는 2024년 재무 요약 항목 2023년 실적 2024년 실적 변화율 / 차이 매출액약 325억 원약 309억 원▼ 약 –4.9% 감소영업이익–231억 원+39억 원▲ 약 +270억 개선당기순이익–255억 원+18억 원▲ 약 +273억 개선영업비용약 556억 원약 270억 원▼ 약 –51.4% 절감💡 요약: 2024년 클래스101은 매출이 소폭 감소했..

숫자로 읽는 한국 기업|1조 시대를 연 무신사, 어떻게 흑자전환에 성공했을까?

📌한눈에 보는 무신사 2024매출: 1조 2,427억 원 (전년 대비 +25.1%)영업이익: 1,028억 원 (2023년 -86억 → 흑자 전환)순이익: 698억 원 (플랫폼 수익성 회복)거래액: 4조 5,000억 원 (국내 온라인 패션업계 최대)EBITDA: 1,951억 원 (현금흐름 개선 지표)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매장 수: 14개 (전년比 +9개)오프라인 연 방문자 수: 1,200만 명1️⃣ 무신사의 전성기, 드디어 "1조 클럽" 입성2024년, 무신사는 매출 1조 2,427억 원을 기록하며 드디어 '1조 클럽'에 들어섰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큰 게 아니라, 내용이 아주 다릅니다.2023년만 해도 -86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던 무신사는, 1년 만에 영업이익 1,028억 원으로 반전을 이뤄냈..

숫자로 읽는 한국 기업|성심당의 비밀 레시피: 빵으로 2,000억 원을 굽다

대전역 앞에 줄 서서 먹는 튀김소보로의 성심당이 2024년에도 파죽지세로 성장했습니다.2024년, 성심당은 지역 명물을 넘어 연매출 1,937억 원, 영업이익 478억 원의 중견 F&B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이 글에서 우리는 재무제표 숫자 하나하나를 해부해 ‘빵집 그 이상의 기업’으로 거듭난 성심당의 성공 비결을 파헤칩니다.✅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매출 1,937억 원, 영업이익 478억 원, 이익률 24.7%무차입 경영에 가까운 재무건전성, 현금만 943억 보유전국 매장은 단 16개뿐이지만, 업계 이익률은 1위기부금 21억 원… ESG 경영 실천까지 📊 1. 3개년 실적 트렌드: 매출·이익 두 배 가까이 성장연도매출액영업이익영업이익률2022년1,020억 원260억 원25.5%2023년1,243..

법인 투자 실무 완전정복|법인 명의 환전·송금 최적화 – 외화 수수료 절감과 환율 헤지 전략

국내 법인이 해외 주식, 원자재 구매, 자회사 투자 등으로 외화를 송금할 때,❌ 높은 환전 수수료❌ 불리한 환율❌ 환율 변동 리스크등이 수익성을 갉아먹습니다.이번 편에서는 법인 명의 외화 송금·환전 시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환전 우대율 확보 방법▶️ 환율 헤지 상품 활용법▶️ 회계·세무 처리 포인트등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법인 외화 송금의 기본 절차와 비용 구조1️⃣ 외화 송금 요청은행 온라인 뱅킹 또는 전용 채널(IB) 통해 신청필요한 서류: 사업자등록증, 거래계약서, 송금 요청서 등2️⃣ 환전원화를 외화로 바꾸는 과정은행 제시 ‘매매기준율’에 일정 우대율 적용 (일반 0~5% → 법인 우대 20~60% 가능)3️⃣ 송금 수수료은행 → 중개은행 → 수취은행 3단계 수수료 발생송금 ..

법인 투자 실무 완전정복|자산 처분과 손상 – 실무상 오류 줄이는 전략

자산의 처분 또는 손상은 회계 처리와 세무에 있어 적지 않은 리스크를 유발하는 주요 이벤트입니다.특히 법인 자산의 매각, 폐기, 교체, 또는 손상 인식은 자산의 가치뿐 아니라 손익계산서와 법인세 납부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이번 글에서는 법인의 투자자산 및 비유동자산 등을 중심으로, 실무상 자주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회계·세무 전략을 설명드릴게요.🏗️ 1. 자산 처분 회계의 기본📌 유형자산이나 투자자산을 처분할 때다음 요소를 인식해야 합니다.장부가액: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처분가액: 매각 금액 (세금계산서 발행 금액)처분손익: 처분가액 – 장부가액🔎 예시장부가액이 5천만원인 건물을 7천만원에 매각했다면?👉 2천만원의 처분이익반대로 4천만원에 팔았다면?👉 1천만원의 처분손실주의: 처분이익..

법인 투자 실무 완전정복|법인 자산 평가의 기초 – 회계 및 세무 실무자의 가이드

법인의 자산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회계와 세무의 언어로 번역되는 ‘신뢰의 증거’입니다.특히 투자 자산이 늘어날수록 어떻게 평가하고, 장부에 어떻게 반영하며, 세금은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편에서는 법인 투자 실무의 핵심 기초 중 하나인‘자산 평가’에 대한 회계 및 세무 기준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법인의 자산은 어떻게 분류될까?법인의 자산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자산 구분주요 예시평가 방식🏦 유동자산현금, 예금, 단기채권, 매출채권공정가치 or 액면가🏗️ 비유동자산건물, 토지, 장기투자, 유형자산감가상각/시가 평가📈 금융자산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원가법, 공정가치법, 지분법🧾 기타자산보증금, 선급비용 등원가 기준 ✅ Tip: 투자 성격 자산은 보통 "금융자산"으..

법인 투자 실무 완전정복|법인의 주식 장기 투자 전략 – 장기 보유의 힘, 실무적 접근

기업의 이익잉여금이나 유보자금이 쌓일수록 법인은 자연스럽게 ‘투자’를 고려하게 됩니다.그중 주식 투자는 단기 시세차익을 노릴 수도 있지만, 장기 보유를 통한 복리 성장을 추구하는 방식도 있습니다.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서 다룬 단기 투자 전략에 이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법인이 주식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왜 ‘장기 투자’인가? – 법인에게 유리한 이유법인의 장기 투자 전략은 단순히 “오래 들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 요소들이 맞물려 돌아가야 효과를 발휘합니다.구분장점설명🎯 복리효과자산 확대배당 재투자 및 주가 상승의 복합 작용💸 배당 수익현금 흐름 안정꾸준한 수익 발생 → 법인 운영자금에 기여⚖️ 리스크 분산시장 대응력 향상분산 투자 시, 단일 종목 리스크 최..

법인 투자 실무 완전정복|법인의 투자 손실 처리 - 회계 처리와 세무 리스크

법인의 투자 활동은 종종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손실이 발생할 때도 있습니다. 이때, 손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법인의 재무 상태와 세무 리스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법인 투자에서 발생한 손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리고 회계 처리와 세무 처리가 어떻게 다른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1️⃣ 회계에서의 손실 처리법인이 투자한 자산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회계상에는 이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자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처리해야 합니다.자산별 손실 처리 방법상장주식: 주식 시장에서 주가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주식의 평가액이 하락하면 이를 바로 회계상 손실로 반영합니다.펀드/MMF: 투자한 펀드나 MMF의 가치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합니다. 펀드의 가치가 하락하면 평가손실을 당기손익에 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