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세법/회계 실무
자영업자 세무 클리닉|6편. 사무용품, 전자기기, 소모품… 경비 vs. 자산 구분, 비용처리는 어떻게?
뇌업그레이드중
2025. 6. 4. 13:39
반응형
🛠 인트로: “프린터는 경비인데, 노트북은 자산이라고요?”
자영업 운영에서 자주 등장하는 질문입니다.
“이거도 사무용인데 왜 비용처리 안 돼요?”
“똑같이 사무에 쓴 건데 어떤 건 자산이고, 어떤 건 소모품이에요?”
사무용 기기나 장비, 전자기기를 구매하면 전부 경비로 처리하고 싶지만,
세무상 기준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자산의 범위, 금액 기준, 감가상각 의무 여부에 따라
처리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거든요.
이번 편에서는 자산과 소모품의 구분,
감가상각 대상과 즉시 비용처리 가능한 항목,
그리고 빈번한 실수까지 확실히 정리해드릴게요.
💡 ① 세무상 자산과 소모품의 차이
구분 | 내용 | 세무 처리 방식 |
자산 | 장기간(1년 이상) 사용, 내구성 있음, 고가 | 감가상각 자산으로 분류. 일정 기간에 걸쳐 비용처리 |
소모품 | 사용 후 곧 소비됨, 저가, 반복구매 | 당기 비용으로 바로 처리 가능 |
즉, ‘사용 기간’과 ‘구매 금액’이 핵심 기준입니다.
💻 ② 자주 묻는 사무용 물품 분류 예시
품목 | 금액 기준 예시 | 처리 방식 | 비고 |
노트북 | 200만 원 | 자산 (감가상각 대상) | 사용 기간 1년 이상 + 고가 |
프린터 | 50만 원 | 소모품비 | 저가 + 사용 용도 명확 |
마우스/키보드 | 5만 원 | 소모품비 | 반복구매 항목 |
책상/의자 | 60만 원 | 자산 또는 소모품 | 금액 및 사용 기간에 따라 |
라벨지/잉크/A4용지 | 수천 원 ~ 수만 원 | 소모품비 | 당기 소모 가능 |
🧾 ③ 세법상 자산 구분 기준 – 100만 원이 마지노선?
📌 일반적으로 100만 원 이상인 경우는 감가상각 대상 자산으로 보며,
100만 원 미만이면 즉시 비용처리 가능하다는 해석이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적용은 업종/상황별로 다릅니다.
국세청 질의회신 기준
→ ‘사용 목적, 내구 연한, 사업 규모, 반복 구매 여부’ 등을 종합 판단.
✅ 안전한 기준
- 200만 원 이상 → 자산 처리 + 감가상각 적용
- 100만 원 미만 → 소모품비 처리 가능 (단, 사용 목적 명확히 증빙)
- 100~200만 원 사이 → 회계처리 정책에 따라 판단, 보수적 접근 권장
🏢 ④ 감가상각 대상 자산 처리법
자산으로 분류되면 구매 시점에 바로 전액 경비로 처리 불가하며,
법정 내용연수에 따라 나누어 비용처리해야 합니다.
예: 노트북 200만 원 구입 → 내용연수 2년이면
→ 매년 100만 원씩 감가상각비로 처리
📌 자산별 내용연수 예시:
- 컴퓨터/노트북/프린터: 2년
- 사무용 가구(책상, 의자): 5년
- 복합기/비즈니스 장비: 3~5년
✅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대장 기록 → 세무조정 필요
✅ 매입 시 세금계산서 수취로 증빙 확보 필수
⚠️ ⑤ 자주 하는 실수 3가지
- 노트북 등 고가 장비를 무조건 소모품으로 처리
→ 세무조사 시 비용 부인 + 가산세 부과 가능
→ 특히 단기간에 여러 대 구매 시 의심↑ - 대표 개인 명의 카드로 고가 자산 구입 후 증빙 미비
→ 세금계산서 없으면 경비 불인정 - 법인과 개인경비 혼용 → 장부에 미반영
→ 고정자산으로 잡히지 않아 감가상각 누락
✅ 체크리스트 – 자산/소모품 구분 시 꼭 확인하세요
- 구매한 물품이 1년 이상 사용할 내구성 있는 기기인가?
- 금액이 100만 원 이상인가?
- 세금계산서 등 적격증빙을 수취했는가?
- 사업자 명의로 결제하고 장부에 기록했는가?
- 자산대장을 작성하고 감가상각 계획을 수립했는가?
✅ 4개 이상 체크 안 되면
👉 당기 소모품비로 처리하는 건 위험할 수 있어요!
📌 정리 요약
- 100만 원 이상 고가 물품은 자산으로 보고 감가상각 처리
- 100만 원 미만이더라도 반복 사용, 사용 기간 1년 이상이면 주의
- 사무용품은 금액 + 사용 목적 + 내구성 기준으로 판단
- 감가상각 자산은 내용연수에 따라 비용처리하며
→ 세금계산서 + 고정자산대장 + 장부 반영 필수
🔜 다음 편 예고
7편. 카드값, 보험료, 정기구독료… 전부 경비인가요?
- 사업용 카드 vs. 개인 카드 구분
-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365 같은 구독 서비스 처리 기준
- 사무실 보험료, 인터넷 요금은 어떻게 처리할까?
👉 ‘간접비’ 항목들의 경비 인정 여부, 실무 기준으로 풀어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