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하면서 퇴직금을 받는 것은 근로자에게 중요한 권리입니다. 그러나 퇴직금이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고,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금의 계산 방법을 상세하게 알아보고, 최신 판례도 함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퇴직금이란?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일하고 퇴직할 때 지급되는 금전으로, 근로기준법에 의해 근로자의 권리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이 금액은 퇴직 후의 생계를 돕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
- 근로자는 동일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 다만, 계약직, 일용직 등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들도 1년 이상 근무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3. 퇴직 사유와 관계없이 퇴직금 지급
- 자발적으로 퇴사하든, 회사에서 해고하든, 계약이 종료되든 상관없이 퇴직금은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다음의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1.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계산은 다음 공식을 따릅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1-1. 1일 평균임금 계산법
1일 평균임금은 최근 3개월 간의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구체적인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일 평균임금 = 최근 3개월 간 총 임금 ÷ 총 일수(달력일수)
- 총 임금은 기본급, 수당, 상여금 등 모든 임금을 포함합니다.
- 총 일수는 3개월의 총 날짜 수를 의미합니다.
1-2. 근속연수와 퇴직금
근속연수는 퇴직 당시까지의 총 근무 기간을 의미하며, 퇴직금을 계산할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예시로 보는 퇴직금 계산
예시 1: 퇴직금 계산
- 최근 3개월 동안 급여: 900만 원
- 총 날짜 수(3개월): 90일
- 근속 연수: 3년
1일 평균임금 = 900만 원 ÷ 90일 = 10만 원
퇴직금 = 10만 원 × 30일 × 3년 = 900만 원
예시 2: 추가 수당이 있는 경우
- 최근 3개월 동안 급여(기본급 + 수당): 1,000만 원
- 총 날짜 수(3개월): 90일
- 근속 연수: 5년
1일 평균임금 = 1,000만 원 ÷ 90일 = 11만 1,111원
퇴직금 = 11만 1,111원 × 30일 × 5년 = 1,666만 6,665원
이렇게 계산된 금액은 근로자가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3. 퇴직금 계산 시 고려사항
- 유급 휴일도 임금 계산에 포함됩니다.
- 수습 기간은 기본적으로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지만, 수습 기간 후 근로 기간이 계속되면 그 이후부터 계산됩니다.
- 해고된 경우에도 퇴직금은 지급됩니다.
✅ 고용노동부 계산기를 통해 직접 계산해보세요!
퇴직금 계산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행추가 행삭제
labor.moel.go.kr
📎 퇴직금과 관련된 유의사항
- 퇴직연금제도와의 차이
일부 기업에서는 퇴직금 대신 퇴직연금제도(DC형, DB형)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퇴직금은 회사에서 적립된 연금 자산으로 지급됩니다. 퇴직연금제도를 적용받는 경우 퇴직금 계산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근로자는 해당 제도에 대한 내용을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퇴직금의 지급 시기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하며, 사정에 따라 연장될 수 있습니다. 퇴직 후의 연장된 지급 시한은 근로계약서나 회사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최신 판례로 보는 퇴직금 쟁점
1. “계약직도 퇴직금 받을 권리 있다” — 계약직 근로자 판례
대법원 2023. 6. 1. 선고 2023다21756 판결
계약직 근로자가 1년마다 재계약을 반복하면서 3년간 근무한 경우, 실질적으로 계속 근무한 것으로 보고 퇴직금 지급을 판결한 사례입니다.
핵심 요지:
“계약이 끊겼더라도 근로자와 회사의 의도에 따라 근속기간을 인정할 수 있다.”
2. “수습기간도 퇴직금 대상” — 수습사원 판례
서울행정법원 2022구합58654 판결
수습사원이 1년 넘게 근무한 뒤 퇴사한 경우, 수습기간도 근속기간에 포함되어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3. “휴직 기간은 퇴직금에서 제외될 수 있다”
대법원 2022다265731 판결
육아휴직 등 무급 휴직의 경우 실제 근로하지 않은 기간은 퇴직금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퇴직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다만, 회사와의 합의에 따라 연장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Q. 퇴직금에서 세금은 떼나요?
퇴직금은 비과세 한도가 있으며, 그 이상은 퇴직소득세로 과세됩니다. 연말정산 시 정확히 계산되며, 퇴직소득세를 절세하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1년 미만 근무한 경우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1년 미만 근무한 경우 퇴직금은 법적으로 받을 수 없지만, 회사 내부 규정이나 합의에 따라 지급받을 수도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퇴직금은 근로자의 법적인 권리입니다. 근로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퇴직금 지급 여부와 계산 방식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퇴직금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노무사나 노동청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 주세요!
'내밥그릇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계약서, 대충 쓰면 큰일 납니다” 필수 기재사항부터 최근 노무 이슈까지 완전 정리 (1) | 2025.04.24 |
---|---|
포괄임금제, 장단점부터 근로계약서 체크포인트, 앞으로의 동향까지 완전 정리 (1) | 2025.04.24 |
2025년 신혼부부 주택 취득을 위한 정부 정책 완벽 가이드 : 대출, 청약, 감면제도, 이자지원과 행복주택에 대한 정보 총정리 (5) | 2025.04.23 |
육아휴직과 육아휴직수당, 놓치면 손해! 2025년 최신 정책 반영 A to Z 가이드 (3) | 2025.04.22 |
연차휴가, 제대로 알고 있나요? 연차 계산법부터 수당, 판례, 직장인 실전 팁까지 총정리!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