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린이를 위한 실전 로드맵|⑩ 집 산 다음 바로 해야 할 일 – 전입신고, 보험 가입, 공과금 명의변경까지

뇌업그레이드중 2025. 5. 22. 10:37
반응형

 

📌 “잔금까지 끝났는데 이제 뭐 하지?”
📌 “전입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죠?”
📌 “집에 보험도 들어야 하나요?”

 

계약과 잔금까지 모두 마무리되었다면, 진짜 ‘내 집’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사만 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죠.
전입신고, 확정일자, 각종 공과금 명의 변경, 화재보험 가입까지…
집을 산 직후 바로 해야 할 ‘후속 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
✅ 전입신고, 확정일자 처리 타이밍
✅ 공과금(전기·수도·가스 등) 명의 변경 방법
✅ 주택화재보험 등 필수 가입 보험 안내
✅ 누락 시 생길 수 있는 문제와 팁까지


🗂 ①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 ‘보증금 보호’의 첫 걸음

전입신고는 정부24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이사 후 14일 이내에 반드시 해야 합니다.
확정일자까지 받아야 전세보증금 보호 또는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이 가능합니다.

📎 준비물

  • 임대차 계약서 원본 (또는 매매계약서 사본)
  • 신분증
  • 공동명의 시 배우자 동의서

💡 확정일자는 주민센터 방문 시 도장 하나 찍는 것으로 간단히 가능

📍 팁: 전입신고는 등기 접수 이후에 해야 ‘실거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정부24) 전입신고 시에도 계약서 사본을 사진으로 첨부하면 확정일자 자동 신청 가능.


💡 ② 전기·수도·가스 명의 변경

이사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공과금 명의 이전입니다.
명의 변경이 늦어지면 전 소유자에게 요금이 청구되거나 단전·단수가 발생할 수 있어요.

📌 각 항목별 명의변경 방법

항목 명의 변경 방법 필요사항
전기 (한국전력)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한전 앱/홈페이지 계약자 신분증, 계좌번호
도시가스 지역 도시가스사(예: 해운대는 부산도시가스) 전화 or 홈페이지 사용지 주소, 계좌정보
수도 관할 수도사업소(예: 부산 상수도사업본부) 전화 신분증, 주소
인터넷/TV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 계정, 신분증

 

📍 팁: 매도인과 협의하여 잔금일 직전 사용량까지 정산하고, 입주일 기준으로 명의 이전하세요.
📍 수도와 도시가스는 현장 방문 점검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예약해두면 좋아요.


🔐 ③ 주택화재보험 – 선택 아닌 필수!

신축이든 구축이든,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합니다.
특히 대출이 있는 경우 은행에서 주택화재보험 가입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 기본 보장 항목

  • 화재로 인한 건물 손해
  • 누수/전기합선 등으로 인한 배상 책임
  • 화재로 인한 대체 숙박비/소송비 지원

📌 가입처

  • 메리츠, DB손보, 현대해상 등 손보사 홈페이지
  • 보험 대리점 or 비교 플랫폼 이용도 가능

📍 팁: 아파트는 아파트 단지 자체 화재보험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 필수
📍 오래된 구축이라면 ‘노후 전기 누전 사고’ 보장 포함 여부 확인


🧾 ④ 기타 해야 할 일

  • 우편물 주소 변경: 등기부 주소와 일치시켜야 함 (은행, 카드, 보험사 등)
  • 쓰레기봉투, 주차 등록: 주민센터 또는 관리사무소 방문
  • 관리비 자동이체 등록: 관리사무소나 아파트 앱에서 신청

집 산 다음 바로 해야 할 일 체크리스트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 전기·가스·수도 명의 변경
☑ 화재보험 가입
☑ 우편물 주소 정리
☑ 관리비 자동이체 등록
☑ 인터넷/TV 신청
☑ 주차 스티커 발급


🧩 마무리하며

부동산 계약이 끝났다고 안심하기엔 아직 이릅니다.
실제 거주를 위한 행정적 절차와 보험, 공과금 변경 등
‘실사용자’로서의 준비를 제대로 해두어야 진짜 내 집 마련의 마무리가 됩니다.

꼼꼼하게 하나하나 챙겨가며
‘주인’으로서 첫 발을 잘 디디시길 바랍니다 😊


🔜 다음 편 예고

📊 《부린이를 위한 내 집 마련 실전 로드맵》⑪
보유세부터 양도세까지 – 내 집 마련 후 세금 마스터 가이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