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세법

지방소득세 환급받는 법 + 직장인을 위한 근로소득세 신고 꿀팁 총정리

뇌업그레이드중 2025. 4. 25. 20:57
반응형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지만, 직장인도 연말정산 이후 지방소득세와 근로소득세를 더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지방소득세의 개념부터 환급받는 방법, 그리고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신고 꿀팁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지방소득세란?

지방소득세는 말 그대로 지방자치단체가 걷는 소득세입니다.
국세인 소득세(근로소득세)의 10% 수준으로 부과되며, 국세청이 걷은 근로소득세를 기준으로 자동 계산되어 납부됩니다.

항목 내용
과세 주체 각 지방자치단체(시·군·구)
과세 기준 근로소득세의 10%
납부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동 신고·납부

💡 대부분의 직장인은 연말정산 시 회사에서 자동으로 지방소득세까지 처리합니다. 하지만 부가소득(프리랜서, 강의료 등)이 있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다면 직접 추가 신고 또는 환급 신청이 필요합니다.


💸 지방소득세 환급받는 방법

1. 환급 대상 확인하기

지방소득세 환급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에서 과다공제 또는 이중공제로 인해 과다납부된 경우
  •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후 지방소득세가 과다납부된 경우
  • 본인 외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로 잘못 신고된 경우 등

2. 환급 신청 절차

  1. 위택스(www.wetax.go.kr) 접속
  2. [지방소득세 → 환급신청] 메뉴 선택
  3. 환급 대상 조회 및 신청서 작성
  4. 환급 계좌 등록 및 제출

⏰ 처리기간: 보통 2주 이내
📞 문의처: 관할 시·군·구청 세무과


🧾 직장인을 위한 근로소득세 & 지방소득세 신고 꿀팁

✅ 꿀팁 1: 연말정산 환급금 비교 확인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근로소득세만 확인 가능하지만,
지방소득세는 위택스 또는 지방세정보시스템(LTIS) 에서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 꿀팁 2: 중도 입사·퇴사자는 꼭 검토

중도 입사 또는 퇴사자의 경우, 연말정산 시 소득 누락이나 공제 누락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통해 정산하면, 지방소득세까지 추가 환급될 수 있습니다.

항목 설명
중도 입사자 이전 직장의 소득이 반영되지 않아 공제 누락 발생 가능
중도 퇴사자 연말정산 미실시 시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 꿀팁 3: 기부금, 의료비, 교육비 꼼꼼히 확인

세액공제 항목이 잘못 반영되었거나 누락되었을 경우, 정정신고를 통해 국세뿐 아니라 지방소득세도 환급이 가능합니다.

예시:

  • 기부금 누락 → 종합소득세 수정신고 → 지방소득세도 자동 정정
  • 의료비 이중공제 → 과다납부 → 환급 신청

📂 실제 사례: 직장인 A씨의 환급 후기

“2024년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받긴 했는데, 지방소득세는 그냥 넘겼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프리랜서 강의료 소득이 포함돼서 지방소득세를 이중 납부한 상태였더라고요.
위택스에서 환급 신청하고 2주 만에 19만 원 돌려받았습니다!”

 


✅ 마무리 체크리스트

  • 위택스에서 지방소득세 환급 대상인지 확인했는가?
  • 연말정산 외 추가 소득이 있는가?
  •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추가 환급 가능성을 검토했는가?

“지방소득세, 모르고 지나치면 손해! 위택스로 확인하고 돌려받으세요!”

 

반응형